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변에 피가 묻어 나오면, 이유는?

by ̱ 2024. 1. 8.

화장실을 다녀와서 변에 피가 묻어있다는 사실에 굉장히 놀랄 수 있죠. 그런데 이 원인은 워낙 다양하게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변에 피가 묻어 나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문 또는 장 내부에 출혈이?

항문 또는 장 내부에 출혈이 있다면 대변에 피가 묻어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장에 출혈이 있다면 피가 소화기관으로 배출되면서 혈액이 섞이게 되는 것이죠.

 

이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 궤양이나 대장염, 크론병 등 위장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치질과 같은 출혈성 이상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이 내부 출혈의 문제로 인해서 피가 혼합되어서 변과 함께 배출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라면 신속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항문 주변의 이상이 있어서?

이렇게 변에 피가 묻어 나오면 항문 주변부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치질이나 염증이 있습니다.

항문 주변의 부종으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정맥이 팽창하게 되면서 혈전이 발생하게 되거나 출혈이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상처 또는 염증으로 인해서 발생하기도 하는데 주변부에 상처가 있거나 염증이 생기게 된다면 이는 하루종일 가려운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래 배가 살살 아픈이유, 소화가 안돼서?


종양이 있다면?

항문의 주변에 종양이 있는 경우 이러한 출혈이 있을 수 있죠. 종양 출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종양 내의 혈관이 파열이 있거나 손상된 경우가 해당됩니다.

 

그리고 종양이 주변의 혈관을 압박하게 되면서 이는 혈액 순환의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는데 그러한 문제로 인해 출혈이 생길 수 있죠.

 

물론 이는 크기나 성질에 따라서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를 수 있습니다. 크기가 큰 편이라면 이는 혈관에 더욱 인접해질 수 있어서 더욱 출혈이 나타날 수 있죠.

 


소화기계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

이는 소화기계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먼저 위장관 궤양의 경우에는 소화관의 내벽에 발생하는 열성이나 상처로 인해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출혈이 일어나면 변에 혈액이 섞이게 되는 것이죠. 크론병이나 대장염의 경우에도 염증으로 인해 출혈이 일어날 수 있어서 혈액이 혼합될 수 있죠.

 

추가로 식도 내 정맥류로 인해서 나타나기도 하는데 식도 주위의 혈관이 팽창하게 되고 확장되는 경우라면 이는 출혈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으로 피가 묻어있을 수 있습니다.

 


약 때문에 그럴 수 있나?

약을 복용 중이신 경우에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약물의 부작용으로 생길 수 있는 것이죠. 내부 출혈을 유발하여 피가 섞이게 되는 것입니다.

 

특정 약물은 혈전을 방지하여 혈액 응고를 억제하게 되는데 내부 출혈의 위험을 높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약물의 경우에는 소화기관 내막을 손상시키고 궤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혹시나 약을 드시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체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