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걸을때 숨이 차는 이유, 정상적인 체중이 아니라서?

by ̱ 2024. 4. 15.

길을 걷는 일상에서도 숨이 차는 증상이 있다면 상당히 걱정스러울 수 있죠. 이는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폐렴,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걸을때 숨이 차는 이유는 무엇이 있는지 그 원인에 대해서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체력이 부족해서

체력이라는 것은 신체의 지구력, 근육 힘, 유연성, 심폐 효율성 등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죠. 이러한 기능들이 부족하다면 체력이 부족하여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폐 시스템이 효율적이지 못하게 된다면 그만큼 근육과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하는 능력 또한 감소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신체 활동 중 더 빨리 피로를 느끼게 될 수 있고 숨이 쉽게 차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산소의 효율적인 운반이 어려워지면서 이산화탄소가 더욱 많이 쌓일 수 있는데 이는 호흡을 자극하여 더 많이 숨을 쉬게 만들 수 있죠. 그리고 산소와 영양분을 더 효율적으로 운반하려고 심박수가 증가할 수 있는데 이는 신체에 스트레스를 주고 걸을때 숨이 차는 이유가 될 수 있죠.

 


체중이 정상적이지 않다면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라면 정상적인 체중 일 때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몸무게가 무겁다면 심장과 폐는 더 큰 부담을 느끼고 신체 활동 시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죠.

이는 심장이 더 많은 혈액을 펌프질 하게 되면서 폐 또한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도록 더 많이 일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체중이 많이 나간다면 근육과 조직으로의 산소 수요 또한 많이 증가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신체가 더 많은 산소를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면서 쉽게 숨이 차게 될 수 있는 것이죠. 이는 신체의 에너지 대사가 비효율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데 체중은 평소의 운동과 식단으로 조절해 주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자꾸 피곤하고 졸려요, 기운이 없나요?


폐 질환이 있는 경우

다양한 폐 질환은 기도의 염증이나 좁아짐, 막힘 등으로 인해서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천식의 경우 기도가 염증을 일으키고 과도하게 반응하여 공기의 흐름이 제한될 수 있죠.

 

이러한 공기의 흐름 제한은 산소의 흡입과 이산화탄소의 배출에도 영향을 주게 될 수 있는데 이는 신체적 활동을 하게 될 경우 숨이 차는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질환은 폐포의 손상을 초래하기도 하는데 폐렴이나 폐섬유증과 같은 질환은 폐포의 염증이나 흉터 조직 형성을 하게 되면서 호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호흡곤란으로 이어지게 될 수 있죠.

 


심장과 관련된 질환이 있는 경우

심장 관련 질환은 혈액 순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숨이 차는 현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장 질환으로 알려진 심부전과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약해질 수 있죠.

 

이는 신체 조직과 기관에 산소 그리고 영양분을 운반하는 혈액이 줄어들게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떠한 활동을 하게 될 때 근육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게 되면서 숨이 차오르는 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걷는 정도에도 심장에 더 많은 산소와 영양분이 필요하게 되는데 심장 질환이 있다면 심장이 이 필요한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게 되어 근육과 다른 조직의 산소 공급이 어려워지고 이는 호흡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불안 장애로 인한 신체적 영향

불안 장애는 정신적 건강은 물론이며 신체적인 영향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불안 장애는 호흡과 관련된 신체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이 있을 수 있죠. 이는 과호흡으로 인해 공기를 너무 많이 흡입하여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혈관의 수축이 일어날 수 있고 심장 및 근육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산소가 감소되어 걷는 동안 숨이 찰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불안한 상태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될 수 있습니다.

 

이때 신체는 비상상황에 반응하여 신체가 긴장을 하게 됩니다. 심장 박동수는 빨라지고 근육은 긴장을 하게 되고 호흡은 더욱 빨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으로 인한 호흡 관련 증상은 아닌지도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