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오른쪽 머리 위 통증, 편두통의 증상일 수 있나?

by ̱ 2024. 5. 14.

머리 위에서 발생하는 통증은 다른 부위에서 느껴지는 통증보다 더 고통스럽게 느껴질 수 있죠. 굉장히 신경이 쓰이기도 하고 심하면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오른쪽 머리 위 통증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주로 머리 한쪽의 통증을 유발하는 것

먼저 편두통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편두통은 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머리의 한쪽, 때로는 양쪽에서 느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죠.

 

이러한 통증은 펄펄 뛰는 것처럼 느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운동이나 빛과 소리에 대한 민감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심한 경우 복통이나 구역질, 구토 등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이 두통이 괜찮아지게 되면 피곤하거나 방전된 느낌을 받기도 하는데 편두통은 그 부분의 신경을 자극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정 패턴이 없으며 통증 위치, 강도, 지속 시간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죠. 이는 오른쪽 머리 위 통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머리를 조이는 듯한 느낌

머리를 조이는 듯한 느낌, 압박감, 당김과 같은 느낌을 받는다면 이는 긴장성 두통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은 보통 일반적으로 양쪽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오른쪽 머리 위와 같은 특정 부위에서도 나타날 수 있죠.

긴장성 두통은 주요 원인으로 목이나 어깨의 근육 긴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랫동안 같은 자세를 하고 있거나 전자기기를 활용하여 작업하는 등 특정 근육 부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면서 나타납니다.

 

특정 근육이 속하는 그룹의 지속적인 긴장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죠. 이러한 두통이 있다면 일반적인 경우 적절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개선이 될 수 있습니다.

▶오른쪽 뒷머리가 찌릿찌릿아픈것, 긴장해서?


눈 주위나 그 뒤로 시작되어 퍼지는 통증

군발두통의 경우일 수 있습니다. 해당 두통은 갑작스럽게 시작되어 대부분 눈 주위나 뒤쪽에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오른쪽 머리 위의 경우 오른쪽 눈 주위에서 시작된 것일 수 있죠.

 

이는 통증이 극도로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눈을 파고드는 것처럼 느낌이 나타나거나 불타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주로 머리의 한쪽에서만 발생하는데 이는 오른쪽 머리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과 함께 눈이 붉어지거나 눈물이 나거나 코가 막히는 증상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통증이 있는 쪽의 눈꺼풀이 처지게 될 수 있고 동공이 축소되는 현상도 동반될 수 있으니 이러한 증상은 없는지도 체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부비동의 감염이나 염증이 있는 경우

부비동이라는 곳은 머리의 전면부와 양쪽에 위치한 공기의 주머니로 보시면 됩니다. 콧구멍과 연결되어 있으며 얼굴뼈의 빈 공간이죠. 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게 된다면 이는 부비동염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이 질환은 부비동 내부의 점막이 붓는 증상으로 나타나며 부비동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주변 조직과 신경에 압박감을 줄 수 있고 이러한 결과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오른쪽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 더욱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죠.

 

그리고 염증 반응이 나타나면 부비동 내부에는 체액이 쌓일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체액이 쌓이게 되면서 압력은 더욱 증가되면서 주변 조직에 대한 압박은 더욱 심해집니다. 이 또한 통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얼굴의 삼차신경에 영향을 주는 경우

삼차신경통은 얼굴 주요 감각 신경인 삼차신경이 영향을 받게 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눈 주위, 상악, 하악으로 나뉩니다. 이신경통은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혈관이 신경을 압박하는 것입니다.

 

이는 신경의 보호막을 손상시키면서 신경 자체를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죠. 오른쪽 부위의 삼차신경이 영향을 받는다면 오른쪽 머리나 얼굴 부위에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삼차신경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활동은 극심한 통증을 일으켜 날카로운 통증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진단을 먼저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